영화과 입시를 치르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실기 준비가 필요합니다. 글을 잘 쓰고, 면접을 잘 보고, 분석을 잘 하기 위해서는 영화 외의 기본기 역시 중요합니다. 모든 영화과 실기의 기본기가 되는 다양한 인문학적 소양 및 타 예술 분야에 대한 이해, 영상 세대가 취약한 독해력을 기르기 위한 수업 등이 커리큘럼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것이 필름스테이션의 강력한 힘입니다.
02
영화과 입시정규반
영화과 입시정규반은 큰 틀에서 3개 반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3개의 반은 같은 공통 커리큘럼을 기준으로 수업하지만 지원하는 중요한 학교들의 실기 특성에 따라 반을 나누고 그 학교를 위한 실기에 조금 더 중점을 두는 것이 특징입니다.
영화과 입시정규반은 큰 틀에서 3개 반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3개의 반은 같은 공통 커리큘럼을 기준으로 수업하지만 지원하는 중요한 학교들의 실기 특성에 따라 반을 나누고 그 학교를 위한 실기에 조금 더 중점을 두는 것이 특징입니다.
입시정규반 CLASS A
세종대, 단국대, 국민대, 서울예대, 동방예대,
서경대, 용인대, 성결대 등 집중 대비
이야기 창작 + 이론, 분석 + 면접 대비 수업
이야기 창작과 더불어 이론과 분석, 면접 대비 수업을 진행합니다.
입시정규반 CLASS B
서울예대, 동방예대, 서경대, 성결대, 수원대,
청주대, 대진대 등 집중 대비
이야기 창작 + 이론, 분석 + 면접 대비 수업
서울예대에서 치르는 작문 시험과 영화사/장르/용어, 이론과 면접 대비 수업을 진행합니다.
입시정규반 CLASS C
한예종, 중앙대, 세종대, 국민대, 숭실대,
단국대 등 집중 대비
이야기 창작 + 논술, 분석 + 면접 대비 수업
한예종에서 치르는 논술 시험과 함께 이야기 창작, 면접 대비 수업을 진행합니다.
<이야기 창작> <영화 이론> <논술 관련> <면접 관련> 총 4가지 커리큘럼을 좌, 우 Slide 해서 확인하세요!
큰 틀에서는 이야기 구성 + 면접 또는 면접 시험이 중심입니다. 예전에 비해서는 전적대 성적이 들어가지 않는 실기 100%로 모집하는 대학도 늘어났습니다만 뽑는 인원이나 실기 형태가 고3, N수생이 치르는 수시/정시에 비해 변동 폭이 큰 편이고 최종 모집요강이 실기를 치르기 1-2달 전에 나오기 때문에 여러 실기 형태를 염두에 두고 준비해야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 1학년부터 새로 시작하려면 서울예대 영화과, 한예종 영상원 영화과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디테일한 커리큘럼은 영화과 입시 정규반 공통 커리큘럼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정규 입시반에서 배울 것들을 미리 배우는 반이 아닙니다. 고3 때는 시간이 부족해 다지기 힘든 ‘기초’ 를 배우는 반입니다. 입시를 위한 공부 이전에, 내가 하려는 영화가 뭔지 아는 것. 영화에 대한 열정으로, 진정성으로, 힘든 입시를 이겨낼 수 있는 원동력으로 드러납니다.
고1 기초반 & 고2 종합반 출신 정규 입시반 수강생 92% 수도권 대학 영화과 진학
1. 영화 보는 습관 만들기
2. 다양한 종류의 책 읽는 습관 만들기
3. 영화 외 타 예술분야에 대한 다양한 지식 쌓기
4. 시사/이슈에 관해 정리하고 각자의 의견 명확히 하기
5. 영화 제작 경험쌓기
6. 지속적인 생기부 관리 - 학생부 종합 전형 대비
1) 영화 이해의 기초
· 프레임, 테이크, 쇼트, 씬, 시퀀스, ACT
· 화면비, 샷사이즈, 앵글, 레벨, 렌즈, 무빙
· 편집, 음향, 컬러, 미쟝센, 장르
2) 이야기 창작의 기초
· 제시문, 제시어, 이미지 등 다양한 요소로부터 시작하는 글쓰기
· 재미있는 이야기를 쓰기 위한 작법과 팁
3) 영화 제작의 기초
· 시놉시스, 트리트먼트, 시나리오 쓰기
· 스토리보드 작성
· 초단편영화 제작 실습
4) 입시 준비의 기초
· 실기시험을 위한 글씨체 교정
· 지속적인 영화 감상과 독서하는 습관 만들기
· 영화 외 타 예술 분야로의 관심 확장
· 시사/이슈에 대한 토론
· 자기소개서 작성과 면접
· 학교별 예제 문제 분석과 실습, 피드백
정규 입시반에서 배울 것들을 미리 배우는 반이 아닙니다. 고3 때는 시간이 부족해 다지기 힘든 기초를 배우는 반입니다. 입시를 위한 공부 이전에, 내가 하려는 영화가 뭔지 아는 것. 영화에 대한 열정으로, 진정성으로, 힘든 입시를 이겨낼 수 있는 원동력으로 드러납니다.
고1 기초반 & 고2 종합반 출신 정규 입시반 수강생 92% 수도권 대학 영화과 진학
1. 영화 보는 습관 만들기
2. 다양한 종류의 책 읽는 습관 만들기
3. 영화 외 타 예술분야에 대한 다양한 지식 쌓기
4. 시사/이슈에 관해 정리하고 각자의 의견 명확히 하기
5. 영화 제작 경험쌓기
6. 지속적인 생기부 관리 - 학생부 종합 전형 대비
1) 영화 이해의 기초
· 프레임, 테이크, 쇼트, 씬, 시퀀스, ACT
· 화면비, 샷사이즈, 앵글, 레벨, 렌즈, 무빙
· 편집, 음향, 컬러, 미쟝센, 장르
2) 이야기 창작 의 기초
· 제시문, 제시어, 이미지 등 다양한 요소로부터 시작하는 글쓰기
· 재미있는 이야기를 쓰기 위한 작법과 팁
3) 영화 제작의 기초
· 시놉시스, 트리트먼트, 시나리오 쓰기
· 스토리보드 작성
· 초단편영화 제작 실습
4) 입시 준비의 기초
· 실기시험을 위한 글씨체 교정
· 지속적인 영화 감상과 독서하는 습관 만들기
· 영화 외 타 예술 분야로의 관심 확장
· 시사/이슈에 대한 토론
· 자기소개서 작성과 면접
· 학교별 예제 문제 분석과 실습, 피드백
05
초격차 영화제작반
필름스테이션만의 체계적이고 진솔한 영화 제작 교육 시스템! 학원 내 대학생 단편 급의 전문 영화 제작 장비 구비!
영화를 찍고 싶다면, 영화를 찍을 것!
요즘에는 핸드폰으로도 훌륭한 영상을 찍을 수 있습니다. 더 이상 핑계 댈 것이 없습니다. 영화를 하고 싶다면 영화를 찍어봐야 합니다. 그리고 관객과 만나기 위해 영화제에 출품해 봐야합니다.
영화 제작은 이제 스펙이 아니라 기본!
사실 상을 위해 영화를 찍을 필요가 없습니다. 받으면 좋겠지만, 요즘엔 아주 큰 영화제에서 상을 받지 않는 이상 대학 진학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이제 대학에서 보는 것은 ‘스펙’이 아니라 ‘영화를 하기 위해서 어떤 노력을 했는가’입니다. 진짜 영화를 하고 싶은 다양한 학생들이 이미 영화를 찍어보는 노력을 행하고 있습니다.
영화를 찍어본 학생은 다르다!
제작에 대한 기본 시스템을 알고, 호흡을 느껴보십시오. 전공에 대해 선택하고 고민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실기 준비를 할 때도 경험을 해보고 공부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해하는 수준도 다릅니다.
한 반 4-5명 정원
1주차 매력적인 이야기 한 줄로 정리하기
· 좋아하는 미술그림, 사진을 통해 나의 취향 찾기 · 내 취향에서부터 시작해서 매력적인 로그라인 만들어보기 · 영화가 만들어지는 과정에 대한 이해
2주차 연출이란 무엇인가?
· 과제로 써온 짧은 이야기 5개 피드백 · 잘 만든 영화를 통해 이해하는 ‘연출’
3주차 촬영이란 무엇인가?
· 과제로 써온 시놉시스 피드백 · 잘 만든 영화를 통해 이해하는 ‘촬영’ · 카메라 작동 원리에 관한 이해 및 간단한 실습
4주차 역할분담 및 프리프로덕션 시작
· 과제로 써온 최종 시나리오 (또는 핸드폰 1인 1작 실습 영상) 피드백 · 편중 1편 선정 및 역할 분담하여 촬영 준비, 프리프로덕션 시작
5주차 프리프로덕션 진행
· 컨셉 PPT 발표 · 후보 배우 선정 후 미팅 날짜 정하기 · 촬영장소 논의하기
6주차 프리프로덕션 진행
· 장비 다루기 연습 · 촬영 전 최종점검 · 콘티 작성 · 일일촬영계획표 짜기
7주차 촬영
· 촬영
8주차 편집 및 정리
· 가편집 피드백 · 잘 만든 영화를 통해 이해하는 ‘편집’ · (면접을 위한) 영화 제작에 대한 감상 및 스스로에 대한 피드백 정리
필름스테이션만의 체계적이고 진솔한 영화 제작 교육 시스템! 학원 내 대학생 단편 급의 전문 영화 제작 장비 구비!
영화를 찍고 싶다면, 영화를 찍을 것!
요즘에는 핸드폰으로도 훌륭한 영상을 찍을 수 있습니다. 더 이상 핑계 댈 것이 없습니다. 영화를 하고 싶다면 영화를 찍어봐야 합니다. 그리고 관객과 만나기 위해 영화제에 출품해 봐야합니다.
영화 제작은 이제 스펙이 아니라 기본!
사실 상을 위해 영화를 찍을 필요가 없습니다. 받으면 좋겠지만, 요즘엔 아주 큰 영화제에서 상을 받지 않는 이상 대학 진학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이제 대학에서 보는 것은 ‘스펙’이 아니라 ‘영화를 하기 위해서 어떤 노력을 했는가’입니다. 진짜 영화를 하고 싶은 다양한 학생들이 이미 영화를 찍어보는 노력을 행하고 있습니다.
영화를 찍어본 학생은 다르다!
제작에 대한 기본 시스템을 알고, 호흡을 느껴보십시오. 전공에 대해 선택하고 고민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실기 준비를 할 때도 경험을 해보고 공부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해하는 수준도 다릅니다.
한 반 4-5명 정원
1주차 매력적인 이야기 한 줄로 정리하기
· 좋아하는 미술그림, 사진을 통해 나의 취향 찾기 · 내 취향에서부터 시작해서 매력적인 로그라인 만들어보기 · 영화가 만들어지는 과정에 대한 이해
2주차 연출이란 무엇인가?
· 과제로 써온 짧은 이야기 5개 피드백 · 잘 만든 영화를 통해 이해하는 ‘연출’
3주차 촬영이란 무엇인가?
· 과제로 써온 시놉시스 피드백 · 잘 만든 영화를 통해 이해하는 ‘촬영’ · 카메라 작동 원리에 관한 이해 및 간단한 실습
4주차 역할분담 및 프리프로덕션 시작
· 과제로 써온 최종 시나리오 (또는 핸드폰 1인 1작 실습 영상) 피드백 · 편중 1편 선정 및 역할 분담하여 촬영 준비, 프리프로덕션 시작
5주차 프리프로덕션 진행
· 컨셉 PPT 발표 · 후보 배우 선정 후 미팅 날짜 정하기 · 촬영장소 논의하기
6주차 프리프로덕션 진행
· 장비 다루기 연습 · 촬영 전 최종점검 · 콘티 작성 · 일일촬영계획표 짜기
7주차 촬영
· 촬영
8주차 편집 및 정리
· 가편집 피드백 · 잘 만든 영화를 통해 이해하는 ‘편집’ · (면접을 위한) 영화 제작에 대한 감상 및 스스로에 대한 피드백 정리